파이썬 문자열
-
파이썬 문자열 기능 4코딩공부/파이썬 2020. 2. 7. 18:01
문자열에 있는 문자의 갯수 구하기 count()를 사용하여 문자열 안에 있는 문자의 갯수를 구할 수 있다. 문자뿐만 아니라 문자열의 갯수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str1 = '...' res1 = str1.count('찾을문자(열)') print(res1) 예) Hello everyone I'm Hong gildong이라는 문자열 안에서 e의 갯수와 ong의 갯수를 찾는 코드이다. e는 4개 ong는 2개로 맞게 출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문자열에 있는 문자의 위치 찾기 문자열 안에 있는 특정 문자(열)의 위치를 찾는 것 또한 가능하다. find()를 사용하면 된다. str1 = '...' res1 = str1.find('찾을문자(열)') res2 = str1.find('찾을문자(열)', 5) #5번..
-
파이썬 공백 제거코딩공부/파이썬 2020. 2. 6. 16:41
파이썬 문자열에서 공백을 제거하려면 strip()을 사용해주면 된다. 이 때, 공백은 문자열 앞 뒤 만을 뜻하며 문자열 중간에 있는 공백은 해당되지 않는다. 앞쪽 공백을 제거하려면 lstrip(), 끝쪽 공백을 제거하려면 rstrip(), 양쪽 공백을 모두 제거하려면 strip()을 사용해주면 된다. str1 = ' 공백이 있는 문장 ' res = str1.strip() print(res) 예) str1에 앞 뒤로 공백이 있는 문장을 저장해놓은 뒤 strip()을 사용했다. 출력할 때는 공백이 사라졌는지 보기 쉽게 문자열 양쪽 끝에 괄호를 각각 넣어주었다. 조건에 맞는 공백이 사라진 모습을 볼 수 있다.
-
파이썬 문자열 기능 3코딩공부/파이썬 2020. 2. 5. 16:26
문자열 길이 구하기 len()함수를 이용해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미리 저장해 둔 문자열과 입력받은 문자열 모두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예) str1에는 미리 문자열을 저장해 두고 str2에는 입력받은 문자열을 저장한 뒤 len()로 문자열의 길이를 구해 strlen에 저장한 다음 출력한다. 문자열이 알파벳인지 숫자인지 검사하기 isalpha()를 이용하면 문자열이 알파벳인지 검사할 수 있다. 문자열이 숫자인지 검사하려면 isdigit()를 사용하면 된다. 둘을 동시에 검사하려면 isalnum()을 이용할 수 있다. str1 = '...' ret1 = str1.isalpha() print(ret1) 1)문자인지 검사하기 hello, 안녕 등 순수 문자로만 이루어 진 것들은 true 결과가 나왔지..
-
파이썬 문자열 기능 2코딩공부/파이썬 2020. 2. 5. 15:50
문자열 합치기 문자열을 합칠 때는 연산자 +를 이용하면 된다. 예) addstr에 str1과 str2를 더해준 값을 저장해 준 뒤 출력하면 두 문자열이 합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 받은 문자열도 합칠 수 있다. 문자열 반복 특정 문자열을 반복해서 출력하고 싶을 때는 연산자 * 를 이용하면 된다. 예) 나와 str1을 3번 반복한것과 str2를 합친 모습이다.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검색하기 if-else문과 in 을 사용해 입력받은 문자열 안에 특정 문자가 있는지 검색이 가능하다. 예) asdfg를 입력하면 a가 있다는 문장이 출력되지만 wrte를 입력하면 a가 없다는 문장이 출력된다. 특정 문자 뿐만 아니라 특정 문자열이 있는지도 검색이 가능하다. if 문에서 ' ' 안에 검색할 문자열을..
-
파이썬 문자열 기능코딩공부/파이썬 2020. 2. 4. 16:52
문자열과 관련된 여러 가지 기능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특정 위치 문자 추출하기 인덱싱을 이용해 원하는 위치에 있는 문자만 따로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또한 음수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예) [4]의 경우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5번째 글자를 뜻하며, [-3]은 음수이기 때문에 뒤에서 3번째 글자를 뜻한다. 따라서 5번째 글자인 '요'와 뒤에서 세 번째 글자인 '김'이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지정한 구간의 문자열 추출하기 꼭 한 글자만 추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구간을 지정해주면 그 구간 안에 있는 문자열들을 추출해 출력할 수 있다. 슬라이싱을 이용해서 추출이 가능하다. 예) 위 코드를 조금 변형해 구간을 추출하는 코드를 만들었다. [2:5]는 두번째 이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