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공부/파이썬
-
파이썬 리스트 요소 삭제코딩공부/파이썬 2020. 3. 2. 18:20
리스트 요소 제거 리스트에서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다. remove()와 del이다. 먼저 remove()는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싶은 요소의 값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하고, del은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싶은 요소의 위치를 알고 있을 때 사용한다. 예) 먼저 del을 사용한 모습이다. del list1[2]로 인덱스 2에 위치한 요소를 지울 수 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3번째 요소인 'c'가 지워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del을 이용해 특정 구간에 있는 요소들을 삭제하려면 슬라이싱을 이용하면 된다. del list1[2:4]로 리스트 1에 저장된 요소들의 인덱스 2부터 4까지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은 remove()에 대한 설명이다. remove()를 이용해 특정 요소를 삭제하..
-
파이썬 리스트 기능 3코딩공부/파이썬 2020. 2. 27. 17:08
리스트 합치기 + 연산자를 이용해 여러 개의 리스트를 합칠 수 있다. 이 때, 연산자를 이용해 리스트를 더해줄 때 앞에 오는 리스트가 먼저 출력된다. 예) 리스트1과 2를 만들어둔뒤 list1+list2를 했을때는 리스트 1이 먼저 출력되고 list2+list1을 했을때는 리스트 2가 먼저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리스트 반복 한 리스트를 반복해서 여러번 출력하기 위해서는 *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예) 리스트에 요소 추가 append()를 이용해 리스트에 새로운 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된 요소들은 추가된 순서대로 리스트에 저장된다. 예) 5를 추가했는데 '5'가 리스트에 저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5를 문자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리스트에 숫자만 저장하려고 할 때 ''를 없애려면 입력을 ..
-
파이썬 리스트 기능 2코딩공부/파이썬 2020. 2. 26. 15:50
특정 구간의 요소들을 구하기 리스트에서 특정 구간의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해서 문자열과 동일하게 슬라이싱을 이용하면 된다. 예)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시작점을 0으로 둬야 한다. [0:3]은 처음부터 3번째 요소까지 슬라이싱하며 [3:]은 4번째 요소부터 끝까지 슬라이싱한다. 홀, 짝수 번째 요소만 구하기 슬라이싱을 이용하되 스텝2로 슬라이싱하면 된다. 예) 홀수번째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스텝2로 슬라이싱하면 되고, 짝수번째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두번째 자리부터 스텝2로 추출해야하기 때문에 [1::2]를 해주면 된다. 리스트 반전 리스트 요소들의 순서를 뒤집어 주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reverse()와 슬라이싱이다. 예) 먼저 reverse()를 사용한 것이다. 슬라이..
-
파이썬 리스트 기능코딩공부/파이썬 2020. 2. 25. 16:43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의 요소 구하기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요소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인덱싱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예)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2]를 입력해주면 리스트의 3번째 요소가 출력된다. ele3에서 처럼 리스트 안에 있는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출력하려면 list1[4][1]처럼 그 리스트의 위치와 그 리스트 안에있는 요소의 위치를 모두 적어주면 된다.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의 위치 구하기 반대로 특정 요소가 있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index()를 사용하면 된다. index()를 사용하면 특정 요소가 최초로 나타나는 위치를 리턴한다. 예) index()는 특정 요소가 위치한 가장 첫번째 인덱스를 리턴하기 때문에 ind1에서는 'a'가 두 개 있어도 맨 처음에 등장하는 'a'의..